대학원/How to write a paper
#2 달리는 동사 (Action)
Tae_bbang
2021. 2. 23. 23:31
아래 본문은 "Style Lesson; Joseph Williams" 책의 내용을 재구성하여 요약했습니다.
어쨌든 생각할 수 있는 것은 명료하게 생각할 수 있다. 표현할 수 있는 것은 명료하게 표현할 수 있다. (루트비히 비트겐슈타인; Ludwig Wittgenstein)
명확성 원칙 1: 주요행위자를 주어로 표현한다.
[예시1] 학교의 기초적인 소양교육의 실패 원인은 학습에 관한 문법적 배경의 영향을 이해하지 못한 데 있다.
- The cause of our school's failure at teaching basic skills is not understanding the influence of cultural background on learning
- Our schools have failed to teach basic skills because they do not understand how cultural background influences the way a child learns.
[예시2] 옛날 옛적에 숲 속을 걷는 일이 빨간망토에게 일어났을 때, 나무 뒤에서 늑대가 갑자기 뛰어드는 일이 벌어져 소녀에게 공포를 유발했다.
- Once upon a time, as a walk through the woods was taking place on the part of Little Red Riding Hood, the Wolf's jump out from behind a tree occurred, causing her fright.
- Once upon a time, Little Red Riding Hood was walking through the woods, when the Wolf jumped out from behind a tree and frightened her.
진한 글자의 문장이 더 명확하게 이해된다.
명확성 원칙 2: 주요행위를 동사로 표현한다.
[예시1] 학교의 기초적인 소양교육의 실패 원인은 학습에 관한 문법적 배경의 영향을 이해하지 못한 데 있다.
- The cause of our school's failure at teaching basic skills is not understanding the influence of cultural background on learning
- Our schools have failed to teach basic skills because they do not understand how cultural background influences the way a child learns.
[예시2] 옛날 옛적에 숲 속을 걷는 일이 빨간망토에게 일어났을 때, 나무 뒤에서 늑대가 갑자기 뛰어드는 일이 벌어져 소녀에게 공포를 유발했다.
- Once upon a time, as a walk through the woods was taking place on the part of Little Red Riding Hood, the Wolf's jump out from behind a tree occurred, causing her fright.
- Once upon a time, Little Red Riding Hood was walking through the woods, when the Wolf jumped out from behind a tree and frightened her.
일반적인 명사화 패턴
- 명사화된 단어가 주어로 사용되고 빈 동사가 나오는 경우: be, seems, has 등의 단어.
- 빈 동사 다음에 명사화된 단어가 나오는 경우: investigation, expansion 등
- 명사화된 단어가 주어로 사용되고 빈 동사 나온 다음 또 다른 명사화된 단어가 나오는 경우
- there is/there are 다음에 명사화된 단어가 나오는 경우
- 명사화된 단어 2, 3개가 전치사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
명사화 구문을 풀면 무엇이 좋아지는가
- 훨씬 구체적이다.
- 훨씬 간결해진다.
- 논리가 훨씬 명확해진다.
- 훨씬 일관되게 이야기를 전개할 수 있다.
예외: 명사화 구문이 유용한 경우
- 앞 문장을 가리키는 짧은 주어로 명사화된 단어가 사용되었을 때
- 명사화 된 짧은 단어가 어색한 표현을 대신할 때
- 명사화된 단어가 동사의 대상(목적어)을 정확하게 지칭할 때
- 명사된 단어가 지극히 익숙한 개념을 담고 있을 때
주의!
명사화된 단어들이 무수히 등장하여, 위의 원칙만을 지키기 위해 글을 풀어적으면 자칫 "그림일기" 같은 글이 탄생한다. 무조건 짧게 글을 쓰게 되고, 단문으로 모든 내용이 구성되는 것이다. 이것만은 피하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