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원/How to write a paper

#6 독자들이 읽고 싶어하는 글을 써라 (Motivation)

Tae_bbang 2021. 3. 9. 02:05

아래 본문은 "Style Lesson; Joseph Williams" 책의 내용을 재구성하여 요약했습니다.

 

Joseph Williams - Crescendo

Joseph M. Williams il miglior fabbro 영어사 연구자에서 수사학 연구자로 시카고대학 영어영문학과 명예교수. 윌리엄스는 원래 영어의 역사를 연구하는 학자였다. 1975년 출간한 《In Origins of the English Lang

xcendo.net

문제를 제대로 정의하면 절반은 해결된 것이다. - 존 듀이 John Dewey

돌이켜 보면, 문제를 해결하는 것보다 문제가 무엇인지 파악하는 것이 훨씬 힘들었다. - 찰스 다윈 Charles Darwin

독자의 관심을 끄는 것은

  1. 독자가 관심을 갖고 글을 읽고 싶게끔 만들어야 한다.
  2. 글에서 무엇을 얻을 수 있는지 알려줌으로써 독자가 더 많은 것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해야한다.
  • 저자: 독자가 해결하고 싶어하는 문제를 대신 제기하고 그것에 대해 해결책을 제시하는 사람이다.
  • 내가 제기하는 문제를 독자들이 자신의 문제라고 인식할 수 있도록 하여 독자들에게 글을 계속 읽고 싶은 동기를 자극해야한다.
  • 문단의 길이가 중요한 것이 아니다. 하지만, 세 부분은 포함해야 한다.
  • 공감대(Commonground) - 문제(Problem) - 해법/핵심/주장(Solution/Main Point/Claim)

공감대

  • 공감대는 독자들이 계속 글을 읽어나갈 동기를 부여하는 임무를 수행한다.
  • 맨 첫머리에 공감대를 제시하는 진짜 목적은 단 하나다. 바로 그것을 곧바로 뒤집기 위한 것이다. '하지만'과 같은 이정표(메타디스코스)를 통해서 말이다.
  • 논문에서는 literature review가 공감대 역할을 한다.

문제의 구조

  • 문제라고 지적하려면 2가지를 만족해야한다.
  1. 불안정조건(destabilizing condition): 테러, 등록금인상, 빈지드링킹 등 잠재적으로 문제를 유발할 수 있는 상황.
  2. 손실(cost) 또는 불편한 결과(intolerable consequence): 불안정조건으로 인해 발생하는, 원치 않는 상황.

문제의 유형

  1. 실용문제(practical problem): 현실에 존재하는 불안정조건을 해결하기 위해 '행동'을 요구하는 문제. 빈지드링킹과 이로 인한 손실은 실용문제에 속한다.
  2. 개념문제(conceptual problem): 어떤 사안에 대한 우리의 인식의 오류를 해결하기 위해 '이해의 변화'를 요구하는 문제. 빈지드링킹이 유행하는 이유를 설명하고자 한다면 이는 개념문제에 속한다.
  • 논문을 쓸 때도 충분히 대답할 수 있으면서도 자신과 독자 모두 관심을 끌 수 있는 더 큰 질문으로 연결되는 질문을 주제로 삼아햐한다.

또 다른 도입부

  • 짧고 인상적인 인용구, 사실, 일화를 첫머리에 둠으로써 '독자의 관심을 붙잡는' 것이다. (prelude)
  • 앞으로 나올 서론의 중심적인 주제를 생생하게 소개할 수 있다.
  • 대체로 인문학 논문이나 일반대중을 대상으로 쓰는 글에서 주로 사용된다.

요약: 서론의 일반적인 구조

  • 실용문제 : 도입부 - 공감대 - 불안정조건 - 손실 - 주장
  • 개념문제 : 도입부 - 공감대 - 불안정조건 - 불편한결과 - 핵심진술

Practice

  1. 실용문제인가? 개념문제인가?
  2. 단락은 쉽게 구분되어 있는가?
  3. 공감대, 문제, 해법을 쉽게 구분할 수 있는가?
  4. 공감대를 제대로 뒤집고 있는가?
  5. 공감대를 제대로 뒤집고 있는가?
  6. 문제를 불안정조건과 손실로 구분하라.
    • 불안정조건은 문제를 제대로 진술하는가?
    • 손실은 "그래서 "어쨌다고?"라는 질문에 대한 적절한 대답인가?
    • 실용문제는 불행을 초래하는 불안정조건의 구체적인 결과를 진술해야 한다.
    • 개념문제는 아직 밝혀지지 않았거나 이해할 수 없는 더 중요한 문제를 진술해야 한다.

결론의 구성

서론의 구성을 그대로 뒤집어 진술하는 것만으로도 충분할 수 있다.

  1. 주장을 진술하는 문장으로 결론을 시작한다.
  2. 손실이나 혜택을 제시함으로써 문제의 중요성을 설명한다.
  3. 앞으로 풀어야 할 또 다른 질문이나 문제를 진술한다.
  4. 도입부를 다시 반복하며 마무리한다. (종결부;cod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