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ve always Humble Learning (IHL)

Welcome to my personal room.

Haste makes waste

Archive/Notes

AI 기업 '수아랩(SUALAB)'

Tae_bbang 2021. 2. 25. 01:39

조금 지났지만, 수아랩은 미국 나스닥 상장사에 회사를 2300억원에 팔았다. 엑싯(Exit)이다. 

어떻게 이것이 가능했는가?

수아랩

  • 수작업 검사 시장을 목표로 하는 외형 검사 자동화 딥러닝 기술 적용에 특화된 기업임.
  • 기존의 인간의 시각적 검사로만 가능했던 한계를 극복하고 조립된 제품에서의 예상하지 못한 결함을 찾고, 파악하며 분류하는 기술을 가짐.
  • 대표 상품: 수아킷
    • 육안 검사 대신  AI를 통해 5픽셀(1.3mm) 이하의 작은 불량까지 걸러내는 기술임.
    • 대표 고객: 삼성, SK 등 26개국 기업이 사용함.

엔지니어링 전문 지식

  • 산업 공장 자동화, 생산 및 외형 검사 공정에 대한 인공지능 관련 지식이 결합되어 엄청난 수준이라고 스위스의 ViDi Systems 설립자 Wyss는 말함.
  • 딥러닝 엔지니어링 인재 확보에 어려움이 있는 지금, 아시아 생산 분야 시장에 전략적 요소도 동시에 될 것이라 말함.

생산 활동의 중심

  • 지난 10년동안 아시아 지역은 글로벌 생산 허브가 되었음. Bookings Institute에 따르면 아시아 국가들(중국, 일본, 인도, 한국, 대만)이 전세계 총 생산량의 40%를 담당한다고 함.
  • 수아랩은 지역적으로 아시아의 심장부에 위치하고 있으며, 삼성 LG 같은 기업들 역시 난이도 높은 산업용 검사 애플리케이션을 위해 수아랩을 신뢰함.

수아랩의 3원칙

  1. 실패해도 한 우물 파기: 딥러닝 기반 비전 검사 기술을 포기하지 않음.
  2. 고급인재 확보: 투자액 대부분을 인재 채용에 사용함.
  3. 자율과 책임: 왜 이일을 해야 하는지만 설명하고, 일의 방식에는 일절 간섭하지 않음.
    • 뛰어난 사람을 뽑되 어떤 시스템도 두지 않았음.

수아랩에 따른 3행운

  1. 구성원: 초기 구성원들이 뛰어난 인재였음.
  2. 정부, 투자자: 연구개발에만 집중할 수 있었음.
  3. 한국: 실패가 반복돼도 투자자들이 믿어줬음. 삼성, LG, 현대, 포스코 등 글로벌 톱 수준의 제조사들과 일하며 그 기준을 맞추다보니 해외에서도 빨리 인정받음.

인재를 붙잡는 3비결

  1. 돈: 최소 대기업 계열사 수준으로 연봉 계약을 함.
  2. 동료: 좋은 동료를 모아주기.
  3. 일: 직원이 계속 성장할 수 있고, 재밌어하는 일을 끊임없이 찾아주기

출처

  1. news.joins.com/article/23708229
  2. www.cognex.com/ko-kr/blogs/deep-learning/cognex-acquires-sualab

'Archive > Notes' 카테고리의 다른 글

About the manager - Google  (0) 2021.04.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