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래 본문은 "Style Lesson; Joseph Williams" 책의 내용을 재구성하여 요약했습니다.
Joseph Williams - Crescendo
Joseph M. Williams il miglior fabbro 영어사 연구자에서 수사학 연구자로 시카고대학 영어영문학과 명예교수. 윌리엄스는 원래 영어의 역사를 연구하는 학자였다. 1975년 출간한 《In Origins of the English Lang
xcendo.net
행위자가 없으면, 아무것도 없는 것이다. - 작자 미상.
[예시] CIA는 대통령이 의회에 CIA 예산 삭감을 하라는 요청을 보낼 것이라는 두려움을 가지고 있었다.
- The CIA feared the president would recommend to Congress that it reduce its budget.
- The CIA had fears that the president would send a recommendation to Congress that it make a reduction in its budget.
- The fear of the CIA was that a recommendation from the president to Congress would be a reduction in its budget.
행위자를 주어로 삼는 이유
- 이야기 속 주요행위자가 가능한 한 모든 동사의 주어로 등장해야 한다.
3가지 질문을 던지며 초안을 교정하자.
- 주어가 주요행위자인가?
- 주어가 주요행위자가 아니라면, 행위자는 어디서 찾을 수 있는가?
- 행위자를 찾으면, 어떻게 해야 하는가? (또는 하지 말아야 하는가?)
- 난해한 글을 읽을 때에도 행위자와 그들의 행위를 중심으로 이야기를 재구성하면 훨씬 쉽게 이해할 수 있다.
움직이지 않는 행위자
To understand what causes the psychiatric disorder, studies should look for more than one variable rather than adopt a strategy in which they test only one biological variable or assume that a single gene is responsible for psychopathology.
- Studies는 사실상 행위자이다. 하지만, 익숙하지 않은 추상명사이고 명확성에는 문제가 없지만, 글을 어렵게 만들 수 있다.
능동태와 수동태
능동태를 쓰면 다음의 2가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 행위의 주체나 원천이 주어 자리에 온다.
- 행위의 대상이나 목적을 직접목적어 자리에 넣을 수 있다.
수동태를 쓰면 다음의 3가지 효가를 기대할 수 있다.
- 행위의 목적이 주어 자리에 온다.
- be동사 다음에 동사가 과거분사 형태로 표현된다.
- 행위의 주체나 원천은 by 다음에 나오거나 생략된다.
능동태와 수동태의 선택은?
- 행위의 주체가 누구인지 독자가 알아야 하는가?
- The president was rumored to have considered resigning.
- 위 예문은 오히려 수동태가 더 자연스럽다.
- 앞 문장에서 다음 문장으로 자연스럽게 이어주는 동사가 무엇인가?
- [Before] We must decide whether to improve education in the sciences alone or to raise the level of education across the whole curriculum. The weight given to industrial competitiveness as opposed to the value we attach to the liberal arts will determine our decision.
- [After] We must decide whether to improve education in the sciences alone or to raise the level of education across the whole curriculum. Our decision will be determined by the weight we give to industrial competitiveness as opposed to the value we attach to the liberal arts.
- 독자에게 더 일관성 있고 적절한 관점을 제공하는 동사는 무엇인가?
1인칭 주어
- 1인칭 주어는 객관적이지 않다는 말은 사실이 아니다. (I, We)
'대학원 > How to write a pap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6 독자들이 읽고 싶어하는 글을 써라 (Motivation) (0) | 2021.03.09 |
---|---|
#5 이야기의 핵심은 바로 이것! (Emphasis) (0) | 2021.03.02 |
#4 의미의 그물망짜기(Cohesion and Coherence) (0) | 2021.02.25 |
#2 달리는 동사 (Action) (0) | 2021.02.23 |
#1 스타일이란 무엇인가? (Understanding Style) (0) | 2021.02.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