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ve always Humble Learning (IHL)

Welcome to my personal room.

Haste makes waste

대학원/How to write a paper

#5 이야기의 핵심은 바로 이것! (Emphasis)

Tae_bbang 2021. 3. 2. 20:51

아래 본문은 "Style Lesson; Joseph Williams" 책의 내용을 재구성하여 요약했습니다.

Joseph Williams - Crescendo

Joseph M. Williams il miglior fabbro 영어사 연구자에서 수사학 연구자로 시카고대학 영어영문학과 명예교수. 윌리엄스는 원래 영어의 역사를 연구하는 학자였다. 1975년 출간한 《In Origins of the English Lang

xcendo.net

내 끝에는 시작이 있다. - TS 엘리엇 T.S. Eliot

 

  • 독자는 문장 첫머리에 등장하는 9-10 단어를 읽으면서 문장을 계속 읽어나갈 힘을 구축한다.
  • 전문용어가 처음부터 열거되면 글이 어렵다. 읽는 속도의 탄력을 얻으려면 단어의 배치를 잘 고려해라.
  • 아래는 2가지 예문이다.
  1. A sociometric and actuarial analysis of Social Security revenues and disbursements for the last six decades to determine changes in projecting deficits is the subject of this study.
  2. In this study, we analyze Social Security's revenues and disbursements for the last six decades, using sociometric and actuarial criteria to determine changes in projecting deficits.
  • 단문은 쉽고 복문은 어렵다? 그렇지 않다.
  1.  Lincoln's claim that the Civil War was God's punishment of both North and South for slavery appears in the last part of the speech.
  2.  In the last part of his speech, Lincoln claims that God gave the Civil War to both North and South as a punishment for Slavery.

글의 장애물

  1. 길고 복잡한 구와 절
  2. 신정보, 특히 낯선 전문용어

문장 구성의 기본 원리는 문장의 도입부를 구성하는 구나 절은 최대한 짧게 쓰고 그 다음에 짧고 구체적인 주어와 행위를 묘사하는 강한 동사를 쓰는 것이다. 첫머리를 잘 구성하면, 뒤에 내용을 길게 써도 쉽게 읽어낼 수 있는 힘이 생긴다.

문단의 구성

문장의 첫머리에는 관점을, 문장의 마지막 부분에서는 말하고자 하는 핵심을 제시해라. 독자들이 힘주어 읽어주기를 바라는 단어들, 특별히 중요한 것이라고 인지해주기를 바라는 단어들을 문장 끝에 두어 강조할 수 있다.

3가지 수정 전략

  1. 끝부분을 잘라낸다.
  2. 중요하지 않은 개념은 왼쪽으로 옮긴다.
  3. 신정보를 오른쪽 옮긴다.

강세자리를 맞추기 위한 여섯 가지 구문

  1. 'There is/There are' 구문
  2. 수동태 구문
  3. 'What' 분열문
  4. 'It' 분열문
  5. Not only X, but (also) Y (as well)
  6. 대명사 치환 및 생략
글쓰기 팁
강조해야 할 단어가 제대로 강세자리에 놓였는지 확인할 수 있는 쉬운 방법이 있다. 문장을 큰 소리로 읽어보는 것이다. 이 때, 문장 끝의 몇 단어들은 톤을 높여 읽는데, 잘 구성된 문장은 자연스럽게 이것이 가능할 것이다.

It is sometimes possible to represent a complex idea in a simple sentence, but more often you cannot.

글을 하나로 묶어주는 도입문 쓰기

첫 문장의 강세자리에 앞으로 등장할 키워드를 배치하여 글의 전체적인 그림을 그릴 수 있도록 한다.

마무리

단락을 관통하는 개념이 존재할 때 독자는 그 글이 심층적으로 결속되어 있다는 느낌을 받는다. 독자들이 이 개념을 쉽게 찾을 수 있도록 저자는 다음으로 도움을 줄 수 있다.

  1. 주요행위자를 문장의 화제로 삼아 반복한다. (대개 주어 역할을 한다.)
  2. 주제는 명사, 동사, 형용사 형태로 단락 전체에 걸쳐 반복한다.